전체 글(256)
-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 개념과 차이점을 학습하기 전에 먼저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 페이지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정적 웹 페이지(Static Web Page) 정적 웹 페이지는 언제 접속해도 같은 응답을 보내주는 페이지를 말합니다. 사용자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미리 저장된 웹 페이지를 보내기만 하게 되며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HTML, CSS, JS 등의 파일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매번 같은 웹 페이지를 보게 됩니다. 동적 웹 페이지(Dynamic Web Page) 동적 웹 페이지는 브라우저에게 요청을 받은 이후 서버가 추가적인 처리 과정을 거쳐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예를 들면 날씨나 뉴스 등이 있습니다. HTML으로는 동적인 구현이 ..
2022.06.30 -
Validation , Bean Validation, 오류 코드 설계 (2/2)
Validation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Bean Validatio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alidation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가볍게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Validation , Bean Validation, 오류 코드 설계 (1/2) Validation , Bean Validation, 오류 코드 설계 (1/2) Validation 이란 예를 들어 고객이 상품 등록 폼에서 상품명을 입력하지 않거나, 가격, 수량 등이 너무 작거나 커서 검증 범위를 넘어서면, 서버 검증 로직이 실패해야 합니다. 이렇게 검증에 실패 lealea.tistory.com 검증 기능을 저번 포스팅처럼 매번 코드로 작성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습니다. 특정 필드에 대한 검증 로직은 주로 빈 값인지 아닌지, ..
2022.06.30 -
Validation , Bean Validation, 오류 코드 설계 (1/2)
Validation 이란 예를 들어 고객이 상품 등록 폼에서 상품명을 입력하지 않거나, 가격, 수량 등이 너무 작거나 커서 검증 범위를 넘어서면, 서버 검증 로직이 실패해야 합니다. 이렇게 검증에 실패한 경우 고객에게 다시 상품 등록 폼을 다시 보여주고, 입력한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어떤 값을 잘 못 입력했는지 알려주어야 합니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검증 오류 처리 방법을 코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BindingResult입니다. @Slf4j @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ation/v1/items")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ValidationItemControllerV1 { @PostMapping("/add"..
2022.06.30 -
[Spring MVC] 로그인1 - 쿠키, (서버)세션, 서블릿 HttpSession
package 구조 hello.login domain item member login web item member login 도메인이 가장 중요하다. 도메인 : 화면, UI, 기술 인프라 등등의 영역은 제외한 시스템이 구현해야 하는 핵심 비즈니스 업무 영역을 말합니다. 향후 web을 다른 기술로 바꾸어도 도메인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web은 domain을 알고 있지만 domain은 web을 모르도록 설계 = web은 domain을 의존하지만, domain은 web을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web 패키지를 모두 삭제해도 domain에는 전혀 영향이 없도록 의존관계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고 반대로 domain은 web을 참조하면 안 됩니다. 홈 화면 개발 HomeController -..
2022.06.28 -
Servlet(서블릿), Dispatcher Servlet, Spring MVC
Servlet(서블릿)이란? 서블릿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Spring MVC에서 Controller로 이용되며,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한 후에 결과를 반환합니다.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이란? 디스패처 서블릿이란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제일 앞에서 받는 프론트 컨트롤러입니다. 디스패처 서블릿은 공통된 작업을 처리한 후에, 적절한 세부 컨트롤러로 작업을 위임해줍니다. 그리고 각각의 세부 컨트롤러는 처리할 부분을 처리하고 반환할 view를 Dispatcher Servlet에 넘기게 됩니다. Spring MVC란? Spring MVC란 웹 애..
2022.06.27 -
[6/6 ~ 6/8] 의견을 묻는 질문, 충고 I would, stay
6/6 의미를 놓치기 쉬운 영어 질문 3개 https://youtu.be/zCHm1qHv6o8 이번 강의에서는 외국인과 대화 중에 받을 수 있는 질문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얼핏 듣기에 어떤 것을 말해야 할지 모를 수도 있을 법 한 질문들인데요, 이번 시간을 통해 익히고 외국인에게 이러한 질문을 실제로 듣게 된다면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3가지 질문은 모두 '상대방의 의견'을 묻고 있습니다. 그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it' 은 상황에 따라서 this나 특정 상황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1. What's your take on it? 어떤 상황에 대한 분석을 요구합니다. 그러므로 답변을 할 때 I think it's good. 가 아닌 상..
2022.06.20